오늘은 2022년도 일용직 4대보험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험이나 세금 계산을 처음 해보시면 많이 어려우실 텐데요. 아래의 글을 참고하셔서 간편하게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건설업종이나 기타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급여 뿐만 아니라 4대 보험과 소득세, 각종 명세서를 꼼꼼하게 숙지하고 계셔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기업이나 회사에서 일하시는 근로자의 경우 회사에서 어느 정도 관리를 해주기 때문에 계산이 조금은 수월하지만 일용직 근로자 분들은 직접 확인해야 해서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4대보험 요율표
4대보험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보험의 요율표를 참고해서 계산하게 되는데요.
아래의 표는 보험 계산 시 사용하게 되는 요율표입니다.
요율 | 근로자 | 사업자 | |
국민연금 | 9 % | 4.5 % | 4.5 % |
건강보험 | 6.99 % | 3.495 % | 3.495 % |
장기요양보험 | 12.27 % | 12.27 % | 12.27 % |
고용보험 (2022년 7월 부터 적용) |
1.8 % | 0.9 % | 0.9 % |
산재보험 | 미정 | 납부 X | 업종별 상이함 |
장기요양 보험료는 총 급여의 12.27%가 아닌 건강보험료의 12.27% 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은 작년과 동일한 요율로 유지되며 근로자와 사업자가 반반씩 4.5% 비율로 납부하게 됩니다.
건강보험은 작년에 비해서 0.13% 증가한 6.99%가 적용됩니다. 이중에서 근로자와 사업자가 반반씩 납부합니다.
장기요양보험은 작년보다 0.75% 증가한 12.27%가 적용되어 건강보험료의 12.27%를 납부하게 됩니다.
고용보험은 작년에 비해서 0.2%가 증가한 1.8%가 적용되어 근로자와 사업자가 반반씩 0.9% 비율로 납부하게 됩니다.
하지만 증가한 요율은 2022년 1월부터 적용되는 것이 아닌 2022년 6월 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6월 이전에 계산하시면 1.6% 요율, 6월 이후는 1.8% 요율을 적용해 계산하시면 됩니다.
산재보험은 현재 확정되지 않아서 정확한 요율을 알수가 없는데요. 또한 근로자가 내는 것이 아니고 사업자가 납부하고 업종별로 요율이 다르기 때문에 근로복지공단을 통해서 확인해야 합니다.
산재보험 요율 알아보러 가기
2022년 일용직 4대보험 계산 방법
그럼 위에서 알아본 2022년도 요율표를 적용해서 4대보험을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표가 각 보험 별 요율 및 계산 방식을 정리한 표인데요.
본인의 소득과 요율을 참고하셔서 계산하시면 되는데요. 근로자와 사업자를 잘 보시고 본인이 속한 곳의 요율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내 일용직 사대보험 알아보기
요율 | 근로자 | 사업자 | 계산 방법 | 참고 | |
국민연금 | 9 % | 4.5 % | 4.5 % | 임금총액 x 4.5% | 1개월 이상 근무 & 월 8일 이상 근무 |
건강보험 | 6.99 % | 3.495 % | 3.495 % | 임금총액 x 3.495% | 1개월 이상 근무 & 월 8일 이상 근무 |
장기요양보험 | 12.27 % | 12.27 % | 12.27 % | 건강보험료 x 12.27% | 건강보험과 동일 |
고용보험 (2022년 6월) |
1.8 % | 0.9 % | 0.9 % | 임금총액 x 0.9% | 고용된 모든 근로자 가입 대상 |
산재보험 | 3.7 % | 납부 X | 업종별 상이함 | 사업주가 부담 | |
소득세 | 일당 150,000원 이상 공제 | 일당 - 150,000 x 2.7% | 소득세가 1,000원 미안일 경우 공제 없음 | ||
지방소득세 | 소득세의 10% | 소득세 x 10% | 원단위 절사 |
이번시간에 2022년도에 바뀐 4대보험 계산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위의 계산 방식을 참고하셔서 계산에 어려움이 없으시면 좋겠습니다.
댓글